본문 바로가기
IT 보고서

듀얼 모니터 사용법 및 주의사항

by 아이파더 2023. 11. 27.

오늘은 저도 사용 중인 듀얼모니터에 대해 리뷰를 해볼까 합니다.

듀얼모니터를 쓰면 게임을 하면서 동시에 애니도 보면서 게임 공략도 볼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데요.

개오타쿠

듀얼모니터

먼저 이 듀얼 모니터를 쓰기 위한 사용 방법과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으로 듀얼 모니터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으로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제가 사용 중인 듀얼모니터에 대해 리뷰하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간 후기를 써볼까 합니다

그럼 고고고

1. 듀얼 모니터 사용 방법:

하드웨어 연결:

컴퓨터 후면의 그래픽 카드 단자에 있는 HDMI, DisplayPort, DVI 등의 포트에 두 개의 모니터를 연결합니다.

(모니터마다 각자 사용하는 포트가 다르므로 맞는 포트에 그냥 찾아서 꼽으면 됩니다. 포트에 맞는 케이블은 모니터 사면 들어있어요.)

듀얼모니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한다는 것과 같다고 저는 생각하기 때문에 무조건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출력을 지원합니다. 

각 모니터를 전원에 연결하고, 컴퓨터와 모니터를 케이블(예: HDMI, DisplayPort, DVI)로 연결합니다.

모니터 설정:

운영 체제에서 모니터를 인식하도록 설정합니다. Windows에서는 '화면 해상도 설정'을 통해 모니터를 감지하고 정확한 화면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설정에서 화면 배치 및 방향을 조정하여 각 모니터의 위치를 설정합니다. Windows 또는 macOS의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듀얼 모니터 설정 방법:

Windows:

Windows 10/11에서는 작업 표시줄을 두 번째 모니터로 확장하거나 별도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작업 표시줄 설정'에서 다중 모니터 옵션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 P 키를 눌러 프로젝터 모드를 설정하여 모니터 간의 표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macOS:

시스템 환경 설정의 디스플레이 탭을 통해 모니터 간의 배치 및 해상도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macOS에서도 메뉴 막대 및 도크를 두 번째 모니터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듀얼 모니터의 장단점:

장점:

작업 생산성 향상: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다른 앱/프로그램을 동시에 열어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멀티태스킹: 한 화면에서 작업을 전환하는 번거로움 없이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병행하여 작업할 수 있습니다.

업무 환경 개선: 문서 비교, 데이터 분석, 비디오 편집 등의 작업을 훨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단점:

비용: 아무래도 동시에 두 가지 프로그램을 돌리려면 그래픽 카드가 좋아야 하고 컴퓨터 성능도 좋아져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듭니다. 듀얼모니터를 쓰시는 분들은 또한 책상도 켜져야 하고 모니터 암도 구매하셔야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비용이 더 들어간다는 점도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오류: 듀얼 모니터를 잘못 사용하시면 수많은 오류에 부딪힐 겁니다. 블루스크린을 자주 경험 할 수도 있고요. 화면 깜박임, 화면 깨짐, 등등 수많은 오류들이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듀얼모니터를 구성하시길 바라겠습니다.

4. 듀얼 모니터 사용 시 주의사항:

호환성: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연결 포트가 호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픽 카드 성능: 두 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할 때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충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해상도 일치: 만약 두 모니터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한쪽 모니터에서 한쪽 모니터로 넘어갈 때 계단 현상을 경험하실 겁니다. 그래서 저는 듀얼모니터를 구매하자마자 당근으로 하나 팔고 재구매해서 해상도를 맞춰주었습니다.

열에 대한 주의: 긴 시간 동안 두 모니터가 켜져 있을 때 발생하는 열 문제에 유의해야 합니다.

주사율 일치 : 만약 두 모니터의 주사율이 일치하지 않으면 플리커(깜박임) 현상을 경험하실 거고 HDR 모드를 사용할 경우 초기 윈도우 진입 시 상기 현상이 엄청나게 생길 겁니다. 그리고 동시에 양쪽모니터에서 과부하가 걸리는 작업을 하면 블루스크린을 경험하실 겁니다.(저도 이 현상을 경험했는데요. 어떻게 해결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화면 밝기 및 색상 : 같은 브랜드라도 완전 동일한 모델이 아닐 경우 화면 밝기 및 색상을 똑같이 맞추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바로 위와 같은 문제들 때문에 완전 똑같은 모니터 두 개를 구매하시길 강력 추천드립니다.

5. 나의 듀얼모니터 구성

저는 아래와 같이 모니터를 구성했는데요.

모델명 27QN600 27GP830
해상도 QHD QHD
주사율 75Hz 144Hz
패널 IPS IPS
응답속도 5ms 1ms
사이즈 27인치 27인치
HDR HDR10 HDR10
AMD Free sync 지원
가격 298,000원 449,000

이렇게 구성하고 나서 화면 깜박임 현상과 블루스크린 때문에 엄청 고생했는데요. 이를 해결한 내용을 아래에 공유드립니다.

6. 듀얼모니터 문제 해결

화면 깜박임 현상과 블루스크린이 발생한다면 아래의 순서로 체크를 합니다.

1. 그래픽카드가 제대로 꽂혀있는가

2. 여분의 케이블을 준비해 새로운 케이블로 바꿔 꼽아본다

3. 그래도 안되면 다 포기하고 주사율을 비슷하게 맞힌다. 저의 경우는 144Hz를 100Hz으로 내리고 이런 현상이 사라졌어요. (ㅠㅠ 그래서 계속 이 상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4. 그래도 안되면 듀얼모니터에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송출하지 않는다. 또는 게임과 영상을 동시에 하지 않는다.

(하나는 영상을 보던지 게임을 한다면 하나는 웹서핑을 한다던지 문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상입니다. 전문가들이랍시고 조언해 주었지만 아무것도 되지 않았고 결국은 이게 해결책이었네요. 여러분들은 만약 듀얼모니터 구성 전에 제 글을 보신다면 무조건 같은 브랜드의 같은 모델로 듀얼모니터 구성하시길 바랍니다. 제발~~

"나는 주사율 다른 걸로 게임이랑 영상 잘만보는데???" 이런 분들 말 믿고 구매하셨다가 큰코 다칩니다.

저도 그랬구요. 그럼 모두들 듀얼모니터 잘 구성하시길 바라며 이만~~~